"마을계획은 처음이라 걱정이예요."
"마을회의를 하려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요?"
"지출결의서 같은 서류 작업은 처음인데 어떡하죠?"
혹시 마을계획을 하고 싶은데 이런 고민이 있으신가요?
사자센터와 함께, 어쩌면 센터보다 더! 마을과 주민의 곁에서 밀접하고 친밀하게 지원해주는 마을계획 지원단을 소개합니다.
기초교육
마을계획 지원단은 2~3월에 모집을 시작하여 심사과정을 거친 후 최종 선정이 됩니다.
지원단으로 선정되면 탄탄한 기초교육을 바탕으로 마을을 지원할 준비를 하게 됩니다.
네트워크회의
본격적으로 마을계획이 시작되면 지원단은 동 지원 활동 공유, 마을계획 단계별 학습, 회계정산 학습 등 매월 2회씩 네트워크 회의를 갖게 됩니다. 네트워크 회의를 통해 지원단 간 네트워킹, 동별 네트워킹이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실무역량강화교육
지원단으로서 마을과 주민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강화 교육도 틈틈히 진행합니다.
회계지침교육, 주민참여예산제, 온라인플랫폼 등 마을계획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실무 역량강화 교육과 더불어 마을활동가로서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소통역량 강화, 활동가 비전 설계 등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마을정책설계워크숍
또한, 마을계획이 주민들의 활동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마을을 변화시키고 주민이 마을계획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더 깊이 생각합니다. 올해 마을계획에서 도출된 의제들을 가지고 마을활동이 마을정책으로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 학습하는 마을정책설계워크숍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지원단 학습회
마을계획 지원단은 스스로 성장하기 위해 마을회의 전 기획회의를 하고, 자체 학습회와 모임을 통해 서로 소통합니다. 더 나아가 주민이 스스로 마을계획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많은 고민과 배움으로 차곡차곡 역량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마을에서 지원단이 약 6~7개월을 마을계획의 전 과정에 함께하다 보니 가끔은 정말 그 마을의 주민이 된다고 합니다. 마을에 좋은 일이 있으면 같이 기뻐하고, 안좋은일이 있을 때면 같이 속상해하고 아쉬워하며 어느샌가 마을에 스며들어 있는 모습을 발견한다고 합니다.
아직 마을계획 지원단의 활동은 한 달여간의 시간을 남겨두고 있는데요. 각 동네의 마을계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단의 활동은 바쁘고도 부지런히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각 동네에서도 지원단을 소중히 생각하듯 사자센터에게도 지원단 선생님의 활동을 대단히 여기고 소중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마을계획의 별이자 핵심 키! 마을계획 지원단의 활동을 마음 다해 응원합니다.
총 게시물 : 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