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유난히 추웠던 겨울이 지나고 2022년 따뜻한 봄이 오던 날,
우리의 마음도 이제 스스로 기지개를 펴야 할 때!
올해 4월, 공동체 마을계획 수립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마을계획단 발대식으로 우리의 몸과 마음을 깨웠습니다. 이번 마을계획단 연합발대식은 공동체 마을계획 수립 지원사업에 선정된 35개동 마을계획단 분들과 함께 마을계획 수립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시간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마을계획"은 마을이라는 일상의 공간에서 느끼는 요구와 문제를 주민들과 함께 해결하여 공공성을 실현하는 주민참여과정을 의미합니다. 벌써 4년째 마을계획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2022년 마을계획도 성공적으로 마치리란 기대가 컸는데요.
마을계획단 발대식을 시작으로 각 마을에서는 마을계획단 회의, 마을 조사, 마을 회의, 마을 총회 등 주민참여 과정을 통해 주민이 마을의 주체가 되는 ‘마을 민주주의’를 실현하게 됩니다.
첫 번째 과정으로 진행되었던 마을계획단 발대식과 회의! 늘 시작은 설레고 기대가 많은 법이죠. 마을계획이 잘 실현될 수 있을지 걱정도 했지만 많은 응원과 격려로 마음을 다잡고 위풍당당한 첫 걸음을 내딛었습니다.
마을계획단 회의를 마친 후 각 마을은 마을의 자원조사와 마을 돌아보기를 시작합니다. 효과적인 마을조사를 위해 분과를 나누고, 역할을 분담하여 조사에 참여합니다. 마을자원조사는 문헌 조사, 현장 조사, 주민 인터뷰, 설문 조사 등 다양한 방법이 있어 각 마을에 맞는 조사 방법으로 마을 내에 어떤 자원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했습니다.
조사를 마친 마을계획단! 각 마을의 특성에 맞게 조사와 회의를 마친 후 자료를 정리하여, 마을의제(원탁)회의를 준비했습니다.
조사한 자료와 의견을 모아 분과별로 의제를 선정합니다. 분과별로 도출된 의제는 회의를 통해 서로 공유하며 종합적인 마을의 의제로 정리합니다. 정리된 의제는 사업의 필요성과 목표를 세우고 필요한 예산 등을 작성하여 사업계획서로 구체화 된답니다!
그동안의 마을조사 과정, 사업계획서 작성안 등을 가지고 마을계획의 마지막 여정인 마을총회를 진행하게 됩니다. 마을총회는 마을계획의 모든 과정을 주민들과 공유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자리이죠! 그러므로 다양한 세대와 많은 주민들의 참여와 결정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마을총회는 각 마을의 상황에 맞게 축제 형식, 신호등 투표방식, 스티커 투표, 비대면 투표 등 여러 방식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마을총회를 통해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구체적 실행방안을 모색하고 결정하게 됩니다. 의제의 성격에 따라 주민이 직접 실행하거나, 다양한 공모사업에 참여하는 등의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고 실행계획을 수립해봅니다.
숨 가쁘게 달려온 2022년 공동체 마을계획 수립사업도 이제 마무리가 되어 갑니다.
이번 마을계획으로 700명의 마을계획단, 247회의 마을회의, 367건의 마을의제, 33회의 마을총회가 진행되었습니다.
마을계획 수립과정을 통해 주민이 스스로 마을의 문제를 찾아 직접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마을의 주체로 활동한 것이 결국, 마을계획의 목표이자 의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마을계획에서 도출된 의제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주민참여예산제 예산 삭감으로 인해 의제 선정이 되지 못한 아쉬움이 많이 남지만 마을계획의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일궈낸 주민들의 노력과 주민자치가 마을에 보이지 않는 씨앗을 뿌린 값진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2022년 공동체 마을계획 수립사업에 참여하신 마을계획단 분들에게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애쓰신 수고와 노력에 무한한 박수를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