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12일부터 5월 22일까지 공동체 마을계획수립 계획단회의를 3회 참석하였습니다.
첫번회의는 컨설턴트로 보이는 분의 간단한 사업소개 및 인사를 나눈후 관심사항을 한두개씩 적어냈습니다.
두번째 회의는 첫번째 회의에서 제출된 의견들을 가지고 비젼을 만들었습니다.
세번째 회의는 비젼을 실천하기 위한 실천계획을 단답형으로 각자 한두개씩 적어 냈습니다.
그리고 며칠 후 '우리 아파트 의제' 3가지를 선정하여 QR 설문과 함께 6월 15일 총회를 한다고 공지되었습니다.
[느낀점]
1. 이 사업이 사회적자본 지원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마을의 부족한 사회적 인프라에 대한
조사활동이 거의 없이 이루어 지는것 같았습니다.
단답형 현안에 대한 다소 구체적인 인프라 실태를 관리사무소 등과 함께 어느 정도 조사하여
실현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 실천방법 등을 토의하여야 좋았을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2. 우리마을은
(가). 인사 캠페인, (나.) 동호회 활성화 (다). 마을 축제 개최
로 선정하였는데 선정과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선정내용만 가지고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다)항의 마을 축제 같은 1회성 사항이 어떻게 사회적 인프라와 결부되는지 의문이 듭니다.
지속적으로 행복한 마을을 위해 좀 더 도움이 되는 사업이 선정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저는 평생학습이 있는 문화 사업으로 '문화 사랑방'의 구현을 꿈꾸어 왔습니다.
아파트에는 충분한 회의실이 있고 일주일 2~3회 단시간의 활동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소액의 기초 인프라만 있으면 중장년을 위한 다양한 문화활동을 기획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파트 내에는 다양한 '재능 기부자'들이 계시다고 판단합니다.
건전하고 타 시도의 모범이 될만한 문화 활동을 충분히 전개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 마을내 유휴 토지 공간이 많은데 각종 화초를 보식하여 사계절 꽃피는 마을을 꿈꾸었는데
의제에도조차 들어가지 못해 못내 아쉽습니다.
이상 말씀드린 사항이 사업을 담당하고 계신 선생님들의 생각과 너무 동 떨어져 있지 않나 하는
두려움이 있습니다만 참고 하시어 잘 지도하여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 말씀은 우리를 지도하시는 컨설턴트한테만 전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총 게시물 :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