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소식

  • 센터소식
  • 뉴스레터

뉴스레터
마을공동체 소식과 센터의 활동 이야기를 담은 매거진

[사자레터122호] 마을계획의 꽃, 마을총회가 곳곳에서 열립니다.
  • 관리자
  • 2019-07-08
  • 2847

 

 

2019. 7. 5.
[Content] 마을돋보기프로젝트
< 마을돋보기프로젝트 > 는 ‘청년이 마을의 소소한 이야기를 찾아내고 기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4월부터 약 한달간 교육을 진행했고, 5월부터 본격적으로 참여자분들께서 직접 마을의 자원을 조사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청년이 바라보는 마을은 어떤 모습일까요?
 
건어물거리 새벽은 낮보다 뜨겁다  
우리가 잠들고 있는 새벽, 건어물거리의 상인분들은 바쁘게 하루를 시작하는데요! 정민정님이 제작한 이번 영상 콘텐츠는 '중동의 건어물거리의 하루'라는 제목으로 상인분들의 하루를 담았습니다.  새벽 시간대별로 거리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산책갈까~?
학하동은 자연에 둘러쌓여있어 공기가 맑고 휴식을 만끽 하기 좋은데요, 강아지들도 넓은 자연을 뛰놀면서 안전하게 산책을 하기 좋을 것입니다. 반려견이 산책할 수 있는 등산로 또한 탐색해서 마을 사진 촬영 및 지도 등록하고 지도를 제작했습니다.
작고 소소한 마을 이야기
육다은님은 평촌동에 있는 작고 사소한 것들을 사진으로 남기고 자신의 생각이나 삶을 보여줄 수 있는 글을 적었습니다. 평촌동의 소소한 일상과 함께 평촌동에 대한 시선을 볼 수 있습니다. 찍은 사진을 보면서 연상되는 추억을 함께 적었습니다.
대전시 마을공동체는 지금
마을계획수립이란? 주민이 직접 마을 의제를 발굴하고 참여를 통해 마을의 의제와 계획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마을계획수립의 마무리 단계인 마을총회가 각 마을(동)별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주민들이 모여 의제와 해결책에 대해서 투표하고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열띤 마을 총회 현장에 가볼까요~?
 
투표로 나의 의견을 말해요
용호동의 대표 의제는 마을안길 꽃길 만들기, 마을안길 천변 인도 설치, 쓰레기 분리수거, 야생동물 피해방지시설, 체험학습마을 조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민들이 투표해 선정한 의제를 통해 용호동이 더 발전하는 마을이 되길 기대하겠습니다.
살기좋은 삼성동을 만들기 위해!
삼성동의 마을 의제는 ‘쓰레기 문제’, ‘주차 문제’, ‘공유 공간 조성’, ‘대전 천변 환경 개선’ 총 네 가지 분과로 이루어졌습니다. 선정된 의제들을 가지고 앞으로도 주민들이 함께 해결점을 찾아갈텐데요. 주민들이 어떤 의제에 투표했을지 확인해볼까요?
활기가 넘치는 자양동 마을총회
자양동 마을총회에서는 총 4개의 안건 (마을축제, 공유공간, 주차공간, 마을 역사) 대해 발표와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주민들이 직접 문제를 발견하고 조사해서 총회를 통해 안건을 제안했는데요, 앞으로의 자양동의 행보가 기대가 됩니다.
 
시민공유공간 개소식 현장 속으로!
시민공유공간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사업을 진행하던 관평동 함지박마을 공동체가 마을공간을 개소하였습니다. 비가 내리는 날씨에도 개소식에 참여하기 위해서 유성구 관평동에 마을 주민들이 하나둘 모여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눴다고 해요~!
대전시 사회적자본지원센터는 지금
 <마을활동가 양성교육>은 마을활동가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강화하고 핵심 마을활동가 간의 네트워킹을 통해 마을자치의 기반을 만드는 교육프로그램입니다. 4월 16일부터 진행된 마을활동가 양성교육이 11회차 교육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자치의 날갯짓, 나비효과
지방자치란 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을 다스리는 것을 말합니다. 1952년도부터 존폐를 반복한 지방자치가 계속적 발전을 하려면 작은 단위인 마을에서 자치가 이뤄져야 합니다. 마을에서 시작하는 움직임이 '나, 마을, 사회'를 변화시킵니다. 
주민참여예산제와 마을의 변화
주민참여예산제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편성이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 되도록 하고 예산 평가과정에 시민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서 마을을 변화시킬 수 있을텐데요, 주민참여예산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열정이 가득했던 11주! 해피엔딩
4월 16일부터 진행된 마을활동가 양성교육이 11회차 교육으로 마무리 되었는데요. 교육 참여자들이 각 마을을 위해서 활동하고, 마을넷이나 마을활동가 포럼에서도 함께 활약하는 모습 기대하겠습니다.
마을공동체 뉴스클리핑
센터에서 알립니다

대전광역시 사회적자본지원센터sajacenter@gmail.com대전광역시 동구 선화로 196번길 48 청춘다락 2층 042-334-1253수신거부Unsubscribe
첨부파일

총 게시물 : 83